저같은 초보들이 VPS에 NGINX를 기반으로 구동하는 서버를 돌리는 경우 워드프레스 고유주소 설정에서 ‘글 이름’으로 설정하는 경우 404 not found error를 볼수 있습니다. 이때 Ubuntu 18.04 LTS 에서 apt로 설치 했을 경우 default.conf 또는 사이트를 생성하셨다면 yourdomain.com.conf 같은 파일이 있으실겁니다. vi 편집기로 해당 파일을 실행합니다. [crayon-63dbd8cc46971514982792/] 아래와 같은 내용의 구간을 찾습니다. [crayon-63dbd8cc46978871042026/] 위와는 다르게 try로 시작하는 줄이 없을 것이니 위와 같이 try로 시작하는 줄을 추가하고 :wq! 로 저장하고 나온 후 service nginx reload 로 nginx를 reload한 뒤에 브라우저에서 404 not found error가 나던 페이지를 열면 페이지가 뜨는걸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
Read On영카트5에서 상품정보제공고시(상품요약정보)를 감추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상품정보제공고시(상품요약정보)란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상품등의 정보제공에 관한 고시’ 에 따른 상품의 특성을 객관적으로 판단 가능한 정보를 사전에 제공토록 통신판매업자에게 의무를 부과하도록한 규정이므로 꼭 작성하고 고시해야하는 사항이지만 개인의 사정(?)에 의해 이를 감추거나 제거하고 싶을 분이 있을거라 생각하고 작성합니다. 일단 theme/사용자테마폴더/head.sub.php 파일을 편집기로 여시고 아래와 같은 소스를 찾습니다. [crayon-63dbd8cc46e34074410499/] 위와 같은 소스를 찾으셨다면 6번줄 아래에 아래와 같이 입력하고 저장합니다. [crayon-63dbd8cc46e3a997783569/] FTP에 파일을 업로드하고 새로고침하면 상품 페이지 하단의 상품정보제공고시(상품요약정보)가 감춰집니다.
Read OnCDN 추가하는 방법은 생략합니다. Regular Style (far) 는 font-weight가 없어도 되지만 font-weight 600을 주면 Solid Style (fas)이 된다. 즉 Regular Style (far) 과 Solid Style (fas) 이 함께 존재하는 폰트의 경우 유니코드가 같으므로 font-weight을 통해 Regular Style (far) 과 Solid Style (fas)를 사용할 수 있다. [crayon-63dbd8cc46f2a398323227/] Solid Style (fas) 는 Regular Style (far) 과 다르게 font-weight 600 이상 또는 bold 값을 넣어야 사용 할 수 있다. 즉 Regular Style (far) 를 지원하지 않는 폰트이다. [crayon-63dbd8cc46f3c399258100/] Brands Style (fab) 는 font-family 에 Free 가 아닌 Brands 를 넣어야 한다. font-weight을 넣어도 되고 넣지 않아도 된다 즉 Regular Style (far)과 같다. [crayon-63dbd8cc46f3f335439116/] FontAwesome HTML <i> 태그로 이용 할때 class 에 fa-spin을 추가하면 돌아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CSS3에서 Unicode를 사용할 때는 아래와 animation 과 keyframes를 이용하면 fa-spin 과 같은 결과를 볼 수 있다. [crayon-63dbd8cc46f41861709123/]
Read OnX-Frame-Options iframe 에 외부 url을 넣을 경우 페이지가 분명 존재함에도 iframe에 표시가되지 않을 때가 있다 이때 크롬개발자 도구를 Console을 보면 아래와 같은 메세지를 확인 할 수 있다. [crayon-63dbd8cc4704f367940032/] X-Frame-Options 은 숨겨진 링크를 사용자를 속여 클릭하게 만드는 Clickjacking 을 방지하기 위한 옵션으로 X-Frame-Options의 경우 아래와 같이 3가지 옵션이 존재한다. DENY SAMEORIGIN ALLOW-FROM http://example.com/ DENY의 경우 iframe에 페이지를 표시 할 수 없다. SAMEORIGIN의 경우 같은 도메인을 사용하는 사용하는 페이지만 표시 할 수 있다. ALLOW-FROM의 경우 지정한 도메인의 페이지만 iframe에 표시할 수 있다. 위 설정은 HTML에서 변경 할수 없고 서버관리자에 의해서 수정될 수 있다. Ubuntu 16.04 LTS Apache2의 경우 /etc/apache2/conf-available/security.conf 파일을 수정함으로써 변경 또는 사용을 중지할 수 있다. [crayon-63dbd8cc47054262942187/] 대략 70번째 줄에 위치하고 있으며 쌍따움표안에 값을 변경하면된다 사용하지 않을 경우 Header 앞에 #으로 주석을 걸어 줌으로써 기능을 정지 시킬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TP/Headers/X-Frame-Options
Read On웹사이트를 운영/제작하다 보면 인터넷 캐시 때문에 CSS, JavaScript 파일이 바로바로 적용이 안 될 때가 있다. 캐시를 지우거나 link 태그에 style.css?ver=1 이러한 식으로 수정할 때마다 숫자를 올려 적어 넣어서 할 수 도 있으나 한두 번도 아니고… 매번 그런다면 정말 짜-증나는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래서 인터넷을 뒤적이다 파일이 수정된 시간 정보를 가져오는 방법을 알게 되어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았다. 앞으로 JSP에서는 아래와 같이 한다면 한결 편할 것이다. 소스는 아래와 같고 [crayon-63dbd8cc47151617773776/] 적용 방법은 css나 js 파일명 뒤에 xxxx.css?ver=<%=fmt.format(lastModifiedStyle)%> 이처럼 적으면 되고, 파일이 수정될 때마다 자동으로 수정된 시간 정보를 불러올 것이다. [crayon-63dbd8cc47156145453393/] 적용 후 소스 보기 했을 때 결과는 아래와 같다 [crayon-63dbd8cc47158664256029/]
Read On먼저 설명에 앞서 아래의 예제 소스를 컴파일하고 문자를 입력해보자. [crayon-63dbd8cc47264220295485/] 위의 예제 소스를 컴파일하고 정수를 입력해야하는 곳에 문자를 입력하게 되면 분명 아래와 같은 에러 메세지를 볼 수 있을 것이다. [crayon-63dbd8cc4726a449102854/] 이는 입력된 값이 일치하지 않다는 뜻으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해결 할 수 있다. [crayon-63dbd8cc4726c562621064/]
Read OnC / C++ 를 공부하는 입장에서 Visual Studio 2017 을 설치를 하고 프로그래밍을 하면 좋겠지만 5gb가 넘는 용량과 서피스3 Pro를 쓰고 있는 나에겐 상당히 무거운 프로그램이다. 그래서 예전부터 주로 사용해오던 Notepad++ 에서 C / C++ 를 컴파일하는 방법을 찾아보고 나와 이 글을 보는 분들을 위해 아래와 같이 정리 해본다. 1. MinGW-W64 다운로드 및 설치 MinGW-W64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의 공식 사이트 또는 위키백과를 참고 바란다. 공식 사이트 https://mingw-w64.org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MinGW 아래의 공식 다운로드 사이트로 이동 https://sourceforge.net/projects/mingw-w64 Download 를 클릭하고 mingw-w64-install.exe 를 다운받는다. 다운받은 ming-w64-install.exe 를 실행하고 Next를 클릭하여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Settings 에서 Architecture 는 i686 에서 x86_64 로 변경하고 Threads는 posix 에서 win32 로 변경하고 Next를 클릭하여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Installation folder에서 Destination folder 아래의 설치 경로를 전체 선택후 복사한다. Next 를 클릭하여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설치가 완료되면 Next를 클릭하여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Finish를 클릭하여 설치를 마친다. 2. 환경 변수 설정 키보드에서 [Win] + [r] 를 눌러 실행을 실행한다. sysdm.cpl 를 입력하고 엔터 또는 확인을 클릭하여 시스템 속성을 실행한다. 시스템 속성에서 고급 클릭하고 고급 하단의 환경 변수(N) 버튼을 클릭한다. 환경 변수에서 하단 시스템 변수(S) 아래에서 Path 를 찾아 선택하고 편집(I) 를 클릭한다. 새로 만들기를 클릭하고 위에서 복사해둔 mingw-64의 경로를 붙여넣기 하고 그 뒤에 \mingw64\bin 를 추가한다. ex. C:\Program Files\mingw-w64\x86_64-7.2.0-win32-seh-rt_v5-rev1\mingw64\bin 확인을 클릭하고 환경 변수 또한 확인을 클릭하여 설정을 […]
Read OnHi I am Joongwon amateur photographer based in Daejeon City in South Korea.
RECENT COMMENTS